본문 바로가기
BUSINESS/서비스 분석

당근 분석

by 홍챔 2024. 9. 5.

네카라쿠배당토의 당을 맡고 있는 당근
오늘은 당근🥕


당근

당신 근처의 지역생활 커뮤니티

출처: Google Play

1. 당근 기능

  • MVP: 거주지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
  • 타겟유저: 거주지 근처에서 중고거래를 하고 싶은 사람들


2. 당근 세부 기능

  • 동네인증 시스템: 당근에서 거래할 시,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동네임을 인증하기 위해 GPS 위치 정보를 받음.
  • 매너온도: 매너 평가, 거래 후기, 동네 인증 횟수를 바탕으로 형성된 매너온도를 통해 거래 상대방의 실제 매너를 확인 가능
  • 1:1 당근 채팅: 당근 내에서 채팅을 통해 거래 약속을 잡을 수 있음
  • 당근페이: 당근 내에서 편하게 거래할 수 있는 당근페이. 연결된 계좌에서 충전식으로 활용. 거래시 계좌번호나 현금없이 당근페이로 거래 가능.
  • 동네 게시판: 우리 동네 이야기들을 커뮤니티 게시글로 정보 공유 가능
  • 동네 분실센터: 물건 분실 시 게시글을 올릴 수 있음.
  • 동네 모임: 관심가가 비슷한 이웃과 과 온·오프라인으로 모임을 만들 수 있음
  • 당근알바: 당근에서 동네 알바를 구할 수 있음.
  • 동네 가게: 근처 가게 정보가 궁금할 때 동네 이웃들의 추천 후기를 확인할 수 있음.

<당근 기능들> 출처: Google Play


3. 당근 장점

  • 간편한 중고거래: 간편하게 동네 사람들과 중고거래를 할 수 있음. 중고나라에서 거래할 시에는 택배를 부치는 등 과정이 귀찮고, 택배비 또한 부담이었는데, 동네 거래라 택배비 부담도 적고, 소액의 상품도 거래가 가능함.
  • 매너온도: 매너온도를 통해, 상대방의 매너 정도를 알 수 있음. 높을수록 신뢰도가 올라가서 좀더 마음 편하게 거래할 수 있음



4. 당근 단점

  • 직거래: 직거래가 부담스러울 수 있음. 문고리 거래도 가능하지만, 이 경우에는 거주지 노출 우려가 있음. 물론 방지가 가능하긴 하지만 귀찮은건 사실
  • 범죄 노출 위험성: 1:1채팅을 통해 이상한 말을 한다던가, 실제로 만났는데 신천지였다던가 등의 후기들이 꽤 있음. 아무래도 동네 인증은 됐지만 사람 인증은 힘들기 때문 아닐까,.ㅜ
  • 많은 광고: 올라온 물건 리스트를 보고 싶은데, 그 중간에 광고가 너무 많긴 함


5. 당근 수익구조 분석

  • 광고 수익: 동네의 작은 가게들을 홍보해주고, 광고 수익을 얻음
  • 당근 페이: 당근페이 서비스에서 수수료를 가져가지 않을까 싶다. 지금은 없는걸로 알고 있긴 하나, 여기서 현금도 보유하기에 용이하지 않을까.. 


6. 개인적인 견해

이사갈 때마다 큰 물건들을 팔았던 당근
근데 수수료를 받지 않아 어떻게 돈을 버나 싶었다.
그래서 지금 당근마켓이라는 어플 이름을 당근으로 바꿔
동네 커뮤니티로 확장을 하려는 것 같다.

하지만 의문이 드는건 커뮤니티로 확장하면 수익이 생길까..?

커뮤니티 또한 광고수익 말고는 탄탄한 BM을 가져가기엔

부족하지 않은가에 대한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.

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궁금해지는 어플 중 하나이다.

'BUSINESS > 서비스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소설닷컴 분석  (1) 2024.09.11
에이닷 분석  (6) 2024.09.06
스픽 분석  (3) 2024.09.04
오늘의집 분석  (10) 2024.09.02
에브리타임 분석  (1) 2024.08.30